AWS

미루고 미루다가 SAA 시험을 드디어 봤다. 17만원짜리 시험 떨어지면 어떡하나 했는데 다행히 790점대로 무난히 합격하였다. 1. 준비기간 : 3 ~ 4개월 - 준비 기간의 경우 회사를 다니면서 준비하느라 집중적으로 하루에 N시간씩 쏟지는 못했다 - 시간을 많이 쓸 수 있는 상황이거나 AWS 경험이 많다면 좀 더 짧은 기간에 준비할 수 있을 것 같다. - Cloud Practitioner 는 따지 않았으며, 바로 SAA 준비를 시작했다. 2. 준비 방법 1) Udemy SAA-03 강의 저렴한 가격에 강의 퀄리티, ppt 퀄리티도 다 마음에 들었다. 다만 꼼꼼히 듣는데 시간이 꽤 걸린다. 영어자막으로 보긴했는데 한국어 자막도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강의를 찾는다면 추천 ! Udemy 는 캐싱을 해..
AWS 인스턴스 개인 작업할 때는 t2시리즈..(프리티어가 여기에 속한다) 만 주로 사용했었으나 실무를 하다보니 가격 정책과 인스턴스 유형을 좀 잘 알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 정리해보게 되었다. 인스턴스 비용을 절약하자 가격 정책 AWS 가격 정책은 다음과같이 3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종류는 case에 따라 유리한 정책이 달라진다. 1. 온디맨드(on demand) 인스턴스 정기 약정 없이 초 단위, 혹은 시간당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바로바로 배포가 가능하여 수요에 맞게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12개월 이내의 기간동안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유리하다 2. 예약 인스턴스 온디맨드 인스턴스에 비해 최대 72%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서버를 운영할 계획이라면, 1 ~ 3 년 ..
boto3 library 가 없으면 우선 pip3 install boto3 명령어로 설치해주자. 또한 AWS 콘솔에서 ACCESS_KEY 와 SECRET_ACCESS_KEY 발급이 필요하다 !! 다음으로 S3 버킷 연결을 위한 connection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client() 함수로 연결을 생성한다. import boto3 def s3_connection(): try: s3 = boto3.client( service_name="s3", region_name="ap-northeast-2", aws_access_key_id=AWS_ACCESS_KEY, aws_secret_access_key=AWS_SECRET_ACCESS_KEY ) except Exception as e: print(e) else: p..
AWS PrivateLink 로 구동되는 자체 VPC 엔드 포인트 서비스를 생성하고, 이 VPC 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다음과 같은 아키텍처를 직접 구현해보는 실습을 정리해 보았다 VPC 내에 Public Subnet 과 Private Subnet을 각각 하나씩 만든다. Public Subnet 내에 ec2 instance 하나를 띄우고, Private Subnet 내에도 ec2 instance를 하나 띄운다. Public Subnet 에서 생성한 ec2 instance인 Bastion host에서는 Private subnet의 Instance에 접근이 가능하다. 그런데 Private Subnet Instance의 경우, 외부로 트래픽이 나가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Private ..
AWS RDS란 ? RDS란 Relational Database Service 의 줄임말이다. AWS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관리를 자동화하고, 클라이언트들이 쉽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AWS에서 RDS 검색후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바로 해봅시당 데이터 베이스는 표준 생성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사용할 엔진을 선택합니다. 저는 MariaDB로 선택했습니다 연습용이니까... 프리티어로 만들어보겠습니다 DB 이름을 정해주고 마스터 사용자 (admin) 이름을 정해줍니다 나중에 이 사용자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야 하니까 기억해주어야 합니다.. 암호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관리할 것이므로 마스터 암호를 설정해줍니다. 위에서 제가 설정한 minjee 라는 ..
LoadBalancer 란 ? 로드밸런서란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기술이다. 여러대의 서버나 하드웨어 장비를 통해서 트래픽을 분산시켜준다. AWS에서도 로드밸런서 서비스를 지원한다. AWS 의 로드밸런서 서비스는 Amazon Elastic Load Balancing 으로, EC2 인스턴스 나 컨테이너 등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트래픽을 자동으로 분산시켜준다. 기본적으로 round robin 방식으로 트래픽을 분산시킨다고 한다. Auto Scaling 이란 ? AWS 오토스케일링은 인스턴스의 수를 자동적으로 (auto) 늘리거나 줄이는 기능이다. 트래픽이 많으면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 서버의 성능을 높여야 할 것이다. 반대로 트래픽이 서버 사양에 비해서 적다면 굳이 성능이 좋은 서버를 사..
S3 란 ?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 의 줄임말으로, 스토리지의 확장성이 우수하며 데이터의 가용성,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아마존의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 S3를 사용하여 Databricks 같은 Data Lake 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웹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재해 등을 대비해서 데이터를 백업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userguide/Welcome.html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는 업..
인스턴스란 EC2에서 사용하는 가상화 서버이다. 인스턴스는 1개에서 수천개로 확장할 수 있으며, 모든 region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하는 블록기반 스토리지를 EBS(Elastic Block Storage)라고 한다. 인스턴스 시작하기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인스턴스 이름을 정한다. AMI 이미지 선택하기 사용할 OS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AMI란, Amazon Machine Image로 EC2 인스턴스를 만들 때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이다. 기존에 있는 이미지 파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직접 커스텀한 AMI 이미지 파일도 사용할 수 있다. 나의 경우 Amazon Linux로 프리티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했다. 네트워크 설정 다..
minjiwoo
'AWS' 태그의 글 목록 (2 Page)